| (장호종 교수님 연구 소개) 생성형 AI를 활용한 건축 설계 자동화 | |||||
| 작성자 | 국가정책대학원 | ||||
|---|---|---|---|---|---|
| 조회수 | 21 | 등록일 | 2025.10.23 | ||
| 이메일 | |||||
|
국가정책대학원 장호종 교수가 카이스트 건설 및 환경 공학과 장성주 교수와 함께 쓴 Automation in Construction 학술지의 논문을 소개합니다. 서지정보 Adeer Khan , Seongju Chang, Hojong Chang (2025), “ Generative AI approaches for architectural design autom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80, 2025, 106506
주요 내용: 근래 연구 분야 중 최고의 핫 이슈 중 하나를 꼽자면 기존 데이터로부터 학습하여 새로운 컨텐츠, 솔루션등을 제공하는 생성형 AI의 등장이 단연 돋보인다. 생성형 AI 출현으로 주도되는 기술 혁명과 그의 알고리즘이 건축 설계 환경을 재편하고 있다. 건축 구조물의 상세 랜더링, 빌딩정보모델(BIM)등 설계 프로세스가 크게 변화 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개념화부터 상세 모델링, 트렌드 예측에 이르기까지 건물 설계 전반적인 영역에 있어서의 AI 기술의 잠재력과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다양한 AI 기법(Variational Autoencoders, Transformers 등)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건축 엔지니어링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과 주요평가지표가 매핑 되는 생성형 모델에 대한 정리를 진행하였다. 생성형 AI의 다양한 모델 구조 바탕으로 포괄적인 8가지 건축 기준 성능 평가에 대하여 정성적 평가, 확산 모델, 자기회귀 기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접근 방식이 가장 유용할 것으로 결론을 내렸고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확장성 제약, 단편화된 워크플로 통합, 표준화된 평가 프레임워크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합 평가 지표 개발, 모델 적응성 향상, 지속가능성을 위한 에너지 최적화 설계 생성 통합, AI 기반 워크플로에 설계자 의견 반영 등 학제 간 협력 및 전략적 해결책 모색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 결과물과 현실간의 격차를 최소화하고 실제적으로 산업계에 쓰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자 소개: 장호종 교수는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과학기술정책전공 전임교수이다.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전자전파컴퓨터공학부, UST 차세대 소자공학 석사,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 박사 박위를 취득하였다. 2008년 9월부터 2025년 8월까지 한국과학기술원 공과대학 융복합연구센터, 대전시-KIAST 전략사업연구센터에서 센터장과 연구교수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2004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대전광역시 경제과학부시장직을 수행하였으며 현재는 대전광역시 경제과학전략산업특별보좌관으로 업무를 수행중이다. 2025년 9월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으로 적을 옮겨 과학기술정책과 관련한 인재양성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