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논단] 도시계획과 계획이론, 그리고 인공지능(임재빈 교수님 칼럼) | |||||
작성자 | 국가정책대학원 | ||||
---|---|---|---|---|---|
조회수 | 61 | 등록일 | 2025.06.20 | ||
이메일 | |||||
임재빈 충남대 국가정책대학원 교수 동서를 막론하고 예로부터 지금까지 도시계획은 존재해 왔다. 사람들이 모여 살려면 자연스럽게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풀어줄 합리적인 해결책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좀 더 좁은 의미로 근대적 도시계획의 출발점을 찾는다면 1800년대 영국 런던과 맨체스터가 첫 무대로 꼽힌다.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어느새 너무 많은 사람이 공장 주변에 몰려들고 콜레라와 같은 전염병이 쉽게 퍼지면서 인구 밀집 지역을 관리하는 규제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중략)
(중략) 인공지능이 도시계획 과정에 참여한다고 해서 인간의 역할이 축소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간이 짊어져야 하는 책임과 전문성은 더욱 명확하고 중요해진다. 인공지능은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신속하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지만, 최종적인 계획 결정과 그 책임은 여전히 사람의 몫이기 때문이다. 결국 인공지능의 도움이 클수록, 사람은 더욱 높은 안목과 비판적 사고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역설적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인공지능의 높은 지적 능력을 잘 활용하면서도 그런 인공지능에 속지 않고 더 좋은 계획을 만들어 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우리가 도시계획 공부를 멈출 수 없는 이유이다. (저작권법에 따라 기사 전문을 올릴 수 없습니다.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기사 출처 : https://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96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