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대학교
  • 정보화본부
  • CNU With U
  • 도서관
  • 발전기금
  • 사이트맵
  • 번역이 완료되었습니다!
 
모바일 메뉴 닫기
 

자료실

Graduate School of National Public Policy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모두가 꿈을 이루는 대학, 글로벌리더 양성의 요람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뉴스레터 19호] (교원 연구 소개) Does only performance feedback matter in public organizations?
[뉴스레터 19호] (교원 연구 소개) Does only performance feedback matter in public organizations?
작성자 국가정책대학원
조회수 42 등록일 2025.07.03
이메일



정책정보와 정책연구



19호 (2025.06.)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19-01] (교원 연구 소개) Does only performance feedback matter in public organizations?


국가정책대학원 고영준 교수가 국회입법조사처 김인태 박사와 함께 쓴 Public Management Review 논문을 소개합니다.


서지 정보:

Kim, Intae, and Yeongjun Ko. "Does only performance feedback matter in public organizations? Testing the moderating role of directional managerial networking on performance improvement." Public Management Review 27.4 (2025): 1025-1049.




주요 내용: 


본 연구는 2015~2020년 한국 공공기관 중 123개의 기관에 대한 패널 자료를 이용해 성과 피드백과 최고관리자의 네트워킹이 다음 해 조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했다. 부정적 피드백을 받은 기관은 이후 성과가 개선되었고, 긍정적 피드백을 받은 기관은 성과가 정체되거나 하락했다. 내부 직원과의 빈번한 소통(하향 네트워킹)은 부정적 피드백의 개선 효과를 강화했고,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접촉(외향 네트워킹)은 긍정적 피드백으로 인한 성과 하락을 완화했다. 감독기관과의 상향 네트워킹은 두 효과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조직에서 실패 신호가 문제 탐색을 촉발해 성과를 높인다는 행태적 조직이론을 지지하며, 최고관리자는 성과 수준에 따라 네트워킹 방향을 달리 조정해야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저자 소개:


고영준 교수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국회입법조사처의 ‘조직/전자정부’ 담당 입법조사관으로 재직하였으며, 2024년부터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공공관리와 정책수단을 중심 주제로 하여, 조직 특성(자율성, 투명성, 다양성), 관리자의 관리적 행위, 조직 환경, 조직 문화, 그리고 회계 선택, 인공지능정부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