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대학교
  • 정보화본부
  • CNU With U
  • 도서관
  • 발전기금
  • 사이트맵
  • 번역이 완료되었습니다!
 
모바일 메뉴 닫기
 

자료실

Graduate School of National Public Policy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모두가 꿈을 이루는 대학, 글로벌리더 양성의 요람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뉴스레터 17호] (교원 연구 소개) 유네스코, 교육 그리고 개발협력
[뉴스레터 17호] (교원 연구 소개) 유네스코, 교육 그리고 개발협력
작성자 국가정책대학원
조회수 105 등록일 2025.03.03
이메일



정책정보와 정책연구



17호 (2025.02.)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17-01] (교원 연구 소개) 유네스코, 교육 그리고 개발협력


국가정책대학원 김환식 교수의 최근 저서를 소개합니다.


서지 정보:

김환식. (2025). 새로 쓰는 교육학 - 유네스코, 교육 그리고 개발협력. 해피&북스(비매품)




주요 내용: 


개발협력도 지식이 있어야 전략이 만들어진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신탁기금을 바탕으로 설계된 UNESCO 교육 분야 「BEAR(Better Education for Africa’s Rise) 프로젝트」를 저자가 UNESCO 파리 본부에서 직접 집행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개발협력 사업이 늘어나고 있기에, 제대로 이해하고 ODA 사업을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집필하였다. 


지식을 바탕으로 개발협력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UNESCO가 어떤 기관인지, UNESCO와 UN과의 관계는 어떠한지, UNESCO는 어떻게 일을 하는지 등을 알아야 한다. 또한, UNESCO의 교육 분야 사업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됐는지, 최근 관심사는 무엇인지 그 흐름과 내용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실제 UNESCO가 개발협력 사업을 어떠한 규정과 절차 등을 거쳐서 진행하는지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이해가 전제되어야만 비로소 UNESCO 교육 분야에 대한 제대로 된 개발협력 전략이 수립될 수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필자의 지식과 경험을 형식지(explicit knowledge)로 정리한 것이다. 그리고 정부, UNESCO 한국위원회 등이 앞으로 해야 할 일들도 정리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UN 산하 국제기구에서 다자간 개발협력 사업이 실제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비매품이라 도서관에서 열람해야 한다.


저자 소개: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강사이다. 대한민국 정부(교육부)에서 30년 넘게 일을 했으며, 재직 중에 고려대학교에서 ‘근로자 학습권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 등 국가 차원의 5개년 계획을 수립했으며, 마이스터고, 고졸 취업, 선취업 후진학, 대학의 평생교육 기능 강화 등의 전문가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새로 쓰는 교육과 교육학』 등 다수가 있으며, 50개가 넘는 정책연구 보고서에 연구자로 참여했으며, 다수의 학술지에도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현재는 「국가교육위원회 저출생 대책 교육 특위」 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교육과 사회의 대(大)개조 연구센터」(ReSET: Research Center for Societal and Educational Transformation)도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그간의 공부를 정리하는 교육과 사회 정책에 관한 책 집필에 몰두하고 있다.